
티스토리 뷰
고용보험 요율 총정리 – 근로자·사업주가 꼭 알아야 할 고용보험 완벽 가이드
"내 월급에서 빠지는 고용보험료, 왜 내는 걸까요?"
"직원 채용할 때 고용보험료 얼마나 부담해야 하죠?"
"2025년 기준 요율은 작년과 달라졌나요?"
이런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해드릴게요!
고용보험은 단순한 공제가 아니라 실업, 육아, 훈련 등 다양한 상황에서 당신을 지켜주는 고용 안전망입니다.
지금부터 2025년 고용보험 요율과 관련한 모든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
✅ 고용보험이란 무엇인가요?
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생계 안정을 위해 실업급여를 지급하고,
사업주에게는 직업훈련, 고용유지 등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예요.
✔ 법적 근거: 「고용보험법」
✔ 운영 주체: 고용노동부, 근로복지공단
✔ 보험료 납부: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 부담
✅ 2025년 고용보험 요율은 얼마인가요?
항목 | 근로자 부담률 | 사업주 부담률 | 총합 |
---|---|---|---|
실업급여 | 0.9% | 0.9% | 1.8% |
고용안정·직업능력개발사업 (50인 미만) | - | 0.25% | 0.25% |
고용안정·직업능력개발사업 (50인 이상) | - | 0.65% | 0.65% |
✅ 총 고용보험 요율
- 50인 미만 사업장: 1.8% + 0.25% = 2.05%
- 50인 이상 사업장: 1.8% + 0.65% = 2.45%
✅ 고용안정·직업능력개발사업 요율이란?
이 항목은 사업주가 단독으로 부담하는 보험료로, 다음 목적에 사용됩니다.
- ✔ 고용유지지원금 (휴업·휴직 시 인건비 일부 보전)
- ✔ 근로자 훈련비 (직무능력 향상 교육 지원)
- ✔ 청년내일채움공제, 고령자 고용장려금 재원
📌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으며, 사업주만 납부합니다.
✅ 사업장 규모별 요율 차이
사업장 구분 | 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총 요율 |
---|---|---|---|
50인 미만 | 0.9% | 1.15% | 2.05% |
50인 이상 | 0.9% | 1.55% | 2.45% |
📌 사업장이 커질수록 사업주의 보험료 부담 비중이 더 커집니다.
✅ 적용 대상자와 가입 요건
고용보험은 대부분의 근로자가 가입 대상이지만, 아래 요건을 확인해보세요.
가입 대상
-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상시 근로자
- 일용직 근로자 (1개월간 60시간 이상 근무 시)
- 일부 특수고용직 (보험설계사, 학습지 교사 등)
제외 대상
- 1개월 미만 단기근로자
- 주 15시간 미만 단시간근로자
- 공무원, 군인, 교직원(별도 공적연금 적용)
- 일반 자영업자 (단, 임의가입 가능)
✅ 월급 기준 실 예시 계산
예시: 월급 250만 원 근로자 기준
구분 | 비율 | 금액 |
---|---|---|
근로자 | 0.9% | 22,500원 |
사업주 (50인 미만) | 1.15% | 28,750원 |
사업주 (50인 이상) | 1.55% | 38,750원 |
📌 총 납입금
• 50인 미만 사업장: 51,250원
• 50인 이상 사업장: 61,250원
✅ 고용보험의 주요 혜택
고용보험은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분의 삶을 지원합니다.
근로자 혜택
- 실업급여: 퇴사 후 구직기간 동안 생계지원
- 육아휴직급여: 아이 양육 중 소득 지원
- 출산전후휴가급여, 청년추가고용장려금, 직업훈련비 등
사업주 혜택
- 고용유지지원금
- 직무능력개발훈련비 지원
- 고령자·청년 채용 시 장려금
✅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의 차이점
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고용보험 vs 산재보험, 이렇게 구분돼요.
항목 | 고용보험 | 산재보험 |
---|---|---|
목적 | 실업, 육아, 훈련 지원 | 업무상 재해 보상 |
납부자 | 근로자 + 사업주 | 사업주 100% |
주관기관 | 고용노동부 | 근로복지공단 |
주요혜택 | 실업급여, 훈련비 등 | 산재보상금, 유족급여 등 |
📌 고용보험은 "고용유지" 중심,
산재보험은 "재해보상" 중심이에요.
✅ 고용보험료 납부 시 유의사항
✔ 매월 말 또는 익월 15일까지 납부
✔ 근로자 보험료는 급여에서 원천공제
✔ 납부 지연 시 가산금 발생
✔ 연말에는 정산 대상자 확정 후 차액 납부
✅ 납부 내역 확인 및 증명서 발급 방법
✔ 고용보험 사이트
✔ '고용보험 자격이력 조회' 또는 '보험료 납부내역 조회' 메뉴 이용
증명서 발급 가능한 항목:
- 고용보험 자격득실확인서
- 실업급여 수급 확인서
- 고용보험료 납부확인서
✅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프리랜서도 고용보험 가입이 가능한가요?
A. 일부 특수형태근로직종은 가입 가능하지만, 일반 프리랜서는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.
Q. 퇴사 후 고용보험 자격은 언제 상실되나요?
A. 퇴사일 다음 날 자동 상실되며, 실업급여 신청 가능해요.
Q. 고용보험료는 연말정산 대상인가요?
A. 아니요. 고용보험료는 비과세 항목이며 자동 공제 처리됩니다.
✅ 마무리 요약
✔ 2025년 고용보험 요율
- 근로자 0.9%, 사업주 1.15~1.55%
✔ 총 합산 요율
- 50인 미만: 2.05%,
- 50인 이상: 2.45%
✔ 고용보험은
- 실업급여, 육아휴직급여, 직업훈련, 고용안정 등
다양한 제도의 기반이 되는 필수 사회보험이에요!
📌 고용보험은 단순한 공제가 아닌
일할 권리와 삶의 안전을 지켜주는 제도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