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

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주휴수당 지급조건 및 계산법 완벽정리

알바생, 계약직, 프리랜서처럼 시급으로 일하는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주휴수당!

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개근했을 뿐인데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제도, 바로 주휴수당이에요.

지급 조건부터 계산법, 지급 시기, 신고 방법까지 하나도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 👇

 

 

 

#주휴수당 계산방법, 지급조건, 미지급시 대처방법

 

✅ 주휴수당이란?

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1주일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보장해주는 제도예요.

 

1주일(7일) 동안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
유급으로 지급되는 1일치 임금을 의미합니다.


즉, 정해진 날 다 출근했으면, 쉬는 날도 돈 주는 것이에요.

  • 지급 대상: 아르바이트, 계약직, 정규직 모두 해당 가능
  • 지급 근거: 근로기준법 제55조(휴일)

➡ 특히 알바생들이 놓치기 쉬운 돈이기도 해요. 받지 못했다면 신고도 가능하니 끝까지 꼭 확인해보세요!

 

🎯 주휴수당 지급 조건 (자격)

주휴수당은 아래 2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지급됩니다.

  1.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
  2.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(결근·지각·조퇴 없음)

📌 ‘주 14시간 이하’로 일하면 해당되지 않아요.
예를 들어 하루 3시간씩 주 4일(12시간) 일한 경우는 지급 제외입니다.

 

#대상자 확인

📊 주휴수당 계산방법

주휴수당 = 1일 소정 근로시간 × 시급

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1주 개근이 조건입니다.
  • 통상적으로 1일 소정 근로시간1주 총 근로시간 ÷ 근무일수로 계산합니다.

📌 예시1: 시급제 아르바이트 (주 5일, 하루 4시간 근무)

항목 내용
시급 9,860원
주 근무일수 5일 (월~금)
1일 근로시간 4시간
주간 총 근로시간 20시간
조건 충족 여부 ✅ 주 15시간 이상 근무 & 개근 시

주휴수당 계산:

4시간 × 9,860원 = 39,440원

 

📌 주급 받을 때는
근로시간(20시간) + 주휴수당(4시간) = 24시간 시급 적용

 

24시간 × 9,860원 = 236,640원 (세전)


📌 예시2: 시급제 아르바이트 (주 3일, 하루 4시간 근무)

항목 내용
시급 9,860원
주 근무일수 3일
1일 근로시간 4시간
주간 총 근로시간 12시간
조건 충족 여부 ❌ 주 15시간 미만 → 주휴수당 미지급 대상

이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.

 

💬 주휴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?

  • 시급제 근로자: 급여일에 함께 지급 (명세서에 ‘주휴수당’ 표시돼야 함)
  • 월급제 근로자: 월급에 포함돼 있으나, 시급 환산 시 포함 여부 확인 필요

📌 고용주가 "주휴수당 포함 시급"이라고 설명했다면 실제 포함 금액이 맞는지 계산이 필요합니다!

 

💸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란?

알바 채용 공고에 보면

“시급 12,000원 (주휴수당 포함)” 이렇게 적힌 경우 많죠?

 

✔️ 포함 시급 계산 공식:
(시급 × 근로시간 + 주휴수당) ÷ 근로시간

 

예) 주 5일, 하루 4시간 근무 = 주 20시간

  • 시급 9,860원 × 20시간 = 197,200원
  • 주휴수당 = 4시간 × 9,860원 = 39,440원
  • 총 급여 = 236,640원
  • 포함 시급 = 236,640 ÷ 20 = 11,832원

    ➡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 12,000원보다 낮을 경우 최저임금 위반입니다.

 

📆 아르바이트생이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

  • ✅ 근로계약서 작성했나요?
  • ✅ 주간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가요?
  • ✅ 한 주 동안 결근 없이 근무했나요?
  • ✅ 급여명세서에 ‘주휴수당’ 항목이 있나요?
  • ✅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된 경우, 계산해봤나요?

📌 위 항목 중 하나라도 ‘❌’라면 주휴수당 미지급 또는 위법 가능성이 있어요.

 

📑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법

주휴수당은 근로자가 당연히 받아야 할 법정수당입니다.
지급하지 않았다면 사업주는 근로기준법 위반이에요.

 

✔️ 대처 방법:

  1. 사업주에게 정중하게 지급 요청
  2. 거부 시 고용노동부 1350으로 신고
  3. 2년 이내 소급 가능 (지급일 기준)

 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하루라도 결근하면 주휴수당 받을 수 없나요?
A. 네. 주휴수당은 1주간 소정 근무일을 개근했을 때만 지급돼요.

 

Q2. 주휴일에 일하면 더 받을 수 있나요?
A. 네! 유급휴일에 근무한 경우, 주휴수당 + 휴일근로수당을 함께 받을 수 있어요.

 

Q3. 고용주가 “시급에 주휴 포함”이라는데 그냥 넘어가도 되나요?
A. 안 됩니다. 실제 지급 총액이 최저임금 기준에 맞는지 꼭 확인해야 해요.

 

✅ 요약정리

  • 주휴수당은 1주 15시간 이상 & 개근 시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
  • 계산은 “1일 근로시간 × 시급”
  • 2024년 기준 하루치 주휴수당 최대 78,880원
  • 시급에 포함된다고 해도 계산 기준이 맞아야 함
  •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(2년 이내)

📌 이 글 보신 분들은 오늘 꼭! 내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, 제대로 받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🙌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