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티스토리 뷰
대형폐기물 인터넷신고 완벽 가이드
신고 안 하면 과태료! 스마트폰으로 5분 안에 해결하는 법!
바로 알려드릴게요.
✅ 대형폐기물이란? (일반쓰레기와 구분되는 기준)
대형폐기물은 일반 쓰레기봉투(종량제)에 담을 수 없는 크기의 폐기물을 말합니다.
크기, 무게, 구조상 일반 수거가 어려워서 별도 신고 후 수거해야 해요.
구분 | 대형폐기물 예시 |
---|---|
가구류 | 소파, 침대 프레임, 장롱, 식탁, 의자, 책장 |
가전제품 | 전자레인지, 선풍기, 청소기, 믹서기, 밥솥 등 |
기타 | 매트리스, 자전거, 러닝머신, 유모차, 행거 등 |
🟨 기준 예시:
- 가로, 세로, 높이 중 한 변이라도 50cm 이상이면 대형폐기물로 간주
- 단단한 재질이거나 다리/바퀴가 있는 구조물은 대부분 해당
✅ 왜 반드시 신고해야 할까요?
대형폐기물을 아무 신고 없이 길가에 내놓으면 불법투기로 간주돼요.
- 1차 적발: 경고 또는 계도 조치
- 2차 이상: 10만 원~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
- CCTV, 주민신고, 민원접수로 적발되면 구청 환경과 조사팀 출동
📌 특히 공동주택, 원룸 밀집지역은 무단 배출로 민원과 갈등이 반복되고 있어요.
정식 절차로 신고 후 배출하는 것이 법적 의무이자 이웃에 대한 예의랍니다.
✅ 인터넷 신고는 누가, 언제 해야 하나요?
신고는 배출하려는 당사자가 직접 해야 하며,
배출 예정일 기준으로 최소 하루 전, 늦어도 2시간 전까지 접수해야 합니다.
상황 | 신고자 |
---|---|
일반 가정 | 세대주 또는 세대원 누구나 |
아파트/빌라 | 입주민 본인 |
원룸/고시텔 | 개인 또는 관리인 |
이사업체 대행 | 업체 명의로 접수 가능 |
📌 일부 지역은 신고 완료 후 출력한 스티커를 직접 붙여야 하며,
다른 곳은 신고 문자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수거가 가능합니다.
✅ 어떤 방식으로 인터넷신고 하나요?
① 여기로 홈페이지 접속
② 모바일 앱 신고
앱 이름 | 설명 | 지원지역 |
---|---|---|
서울대형폐기물 | 서울시 전 자치구 통합앱 | 서울시 전역 |
빼기 | 사진으로 품목 자동 인식 | 수도권, 광역시 |
여기로 | 지자체 연계 스마트 신고앱 | 경기, 충청권 일부 |
클린하우스 | 수거정보·스티커 기능 제공 | 인천, 부산 일부 구 |
📌 사진 등록 후 AI가 품목 인식 → 요금 자동 계산 기능을 제공하는 앱도 많아요.
📲 스마트폰만 있으면 24시간 언제든 가능!
✅ 신고 절차: 5분이면 OK
1️⃣ 주소 입력
→ 배출지 주소 입력 후 관할 구청 시스템 자동 연결
2️⃣ 품목 선택 및 수량 기입
→ ‘싱글 매트리스 1개’, ‘전기밥솥 1개’ 등 구체적으로
3️⃣ 배출일/위치 입력
→ “101동 후문 쓰레기집하장 옆” 등 정확한 위치 필수
4️⃣ 수수료 확인 및 결제
→ 품목별 자동 계산
→ 카드, 계좌이체, 간편결제(네이버페이 등) 가능
5️⃣ 신고 완료 후 출력 or 문자 저장
→ 출력형 스티커는 프린터 필요
→ 출력이 어려운 경우 동주민센터에서 출력 가능
📌 일부 지자체는 프린트 없이 문자로만 인증 가능!
배출물 위에 출력물을 붙이거나 문자 내용을 보여주세요.
✅ 수수료는 얼마인가요?
품목 | 평균 수수료(원) | 비고 |
---|---|---|
1인용 소파 | 3,000~5,000 | 재질에 따라 다름 (천 vs 가죽) |
침대 프레임 | 5,000~10,000 | 싱글 < 퀸 < 킹 |
전자레인지 | 2,000~3,000 | 소형가전 분류 |
매트리스 | 5,000~8,000 | 오염도 따라 추가요금 |
자전거 | 3,000~4,000 | 성인용 기준 |
📌 지자체마다 다르므로 신고 시 자동 계산된 금액이 정확합니다.
✅ 무상 수거 가능한 품목은 따로 있어요!
❗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, TV 등 대형가전제품은
환경부와 한국전자제품자원공제조합에서 운영하는 무상 수거 서비스 이용 가능
🚚 기사 방문 → 직접 수거 → 계단 이용도 OK!
📌 TV, 냉장고는 인터넷 신고 대신 꼭 이 경로를 이용하세요!
✅ 실수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
- ✅ 신고 후 배출 날짜와 시간 반드시 준수
- ✅ 배출 장소는 “101동 후문 우측” 등 구체적으로
- ✅ 신청한 품목 외 다른 물건을 함께 버리면 ❌
- ✅ 품목이 훼손된 경우(찢김, 분리 등)에는 사진 첨부 권장
- ✅ 배출 전날 야간보다는 당일 아침 배출이 가장 안전
✅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인터넷 신고했는데 스티커 프린터가 없어요!
→ 문자 확인만으로 수거 가능한 지역도 있어요.
→ 해당 구청에 확인하거나 근처 주민센터에서 출력 가능.
Q. 갑자기 일정이 바뀌었어요. 날짜 변경 되나요?
→ 대부분 변경 가능.
→ ‘신고 내역’에서 수정하거나 관할 구청에 전화 문의.
Q. 품목 잘못 선택했어요! 추가 요금 내야 하나요?
→ 수거자가 품목이 다르다고 판단하면 수거 거부 가능.
→ 전화로 변경하거나, 취소 후 재신고를 추천해요.
Q. 스티커를 분실했어요. 다시 출력 가능한가요?
→ 마이페이지에서 재출력 가능 / 주민센터에서 재발급 가능
✅ 요약 정리
항목 | 내용 |
---|---|
신고 대상 | 침대, 소파, 책상, 자전거, 전자레인지 등 |
신고 방법 | 인터넷 or 모바일 앱 신고 |
신고 절차 | 주소입력 → 품목선택 → 결제 → 스티커 or 문자 인증 |
무료 수거 | 냉장고, 세탁기, TV 등 폐가전은 별도 신청 |
과태료 | 무단배출 시 10~100만원 과태료 |
추천 시간 | 배출 예정일 아침 7~9시 사이 |
✅ 마무리 꿀팁
대형폐기물은 버리는 것도 절차가 필요합니다!
신고만 잘하면
✔️ 과태료 걱정 없이
✔️ 수거 누락 없이
✔️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요!